유학준비반 운영
토플준비반 + 로드맵 제공에 따른 스펙 업그레이드
(대상: 중고등, 대학생 맞춤형 관리프로그램)
솔로몬에듀의 음악 전문 상담팀은 미국의 College, University, Conservatory의 음악과 관련된 다양한 학위 프로그램(학사: Bachelor of Music, 석사: Master of Music, 연주자: Professional Study, Artistic Diploma, Graduate Study, 박사: Doctor of Musical Arts), 유럽과 미국의 저명한 Music Summer Festivals, 그리고 예중/예고 학생들을 위한 음악 예비학교와 예술 보딩스쿨의 지원을 도와드리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음악컨설팅은 음대전공자가 아니면 결코 전문성을 띄기 어렵습니다.
토플준비반 + 로드맵 제공에 따른 스펙 업그레이드
(대상: 중고등, 대학생 맞춤형 관리프로그램)
미국과 유럽의 유명한 섬머스쿨 소개
예중, 예고생을 위한 미국 유명 대학 음악 예비학교 소개
미국 유명 음악대학 오디션을 위한 전공별 교수님과의 Contact
(Consultation Lesson, Private Lesson)
전공별 학교와 교수님 선택, 원서지원, Pre-screening 제작요령과 준비과정, Live 오디션 준비 및 오디션 투어 총괄지원
‘장학금 받고 음대가기’ 장학금 지원 컨설팅
전공과 프로그램에 맞게 지원자의 유학특성을 살려 로드맵 제시
(Performance, Academic, Music Education, Job Search)
음대 출신 전문가의 지속적인 상담을 통한 성공적인 유학
* 서류는 Application, 추천서, 성적표, Essay, Resume, 장학금 신청 etc.
** 출국 전 오리엔테이션은 핸드폰, 보험, 항공 예약(필요 시), 은행 관련 도움, 유학생활 가이드, 공항 픽업 서비스(학교 또는 홈스테이 픽업 서비스 있는 경우) 등 유학 생활 초기 정착에 도움을 드리는 서비스입니다.
서비스 내역 | 대학교 | 대학원 |
---|---|---|
입시 관리 및 원서 컨설팅 |
||
진학 상담 | ||
명문 음악학교 진학을 위한 로드맵 제공 | ||
학교와 전공 Search, Admission Requirement 제공 | ||
선수과목(Prerequisite) 체크 | ||
지원 학교 최종 리스트 선정 | ||
에세이/SOP 전문 에세이팀 교정작업 | ||
CV(Resume) 작성 | ||
Pre-screening Requirement 안내 및 Repertoire 준비 | ||
추천서 안내 | ||
원서 작성 및 제출 | ||
Official Transcript 발송 | ||
TOEFL 등 시험 등록 | ||
TOEFL 등 Result Report | ||
지원 상황 체크 및 업데이트 | ||
(옵션) Live Audition 준비 (초대받은 경우) | ||
(옵션) 현지 교수 Contact / 레슨예약 메일 | ||
(옵션) 인터뷰 대비전략 | ||
입시 결과 안내 | ||
최종학교 선정 및 I-20 신청 | ||
(옵션) F1비자 인터뷰 준비 | ||
예치금 납부 | ||
출국 전 오리엔테이션 | ||
출국 전 관리 프로그램 |
||
학교 계정 등록 | ||
기숙사 신청 | ||
픽업 신청 | ||
Placement Test 안내 | ||
Immunization Form 준비 | ||
수강신청 방법 안내 | ||
(옵션) Live Audition 컨설팅 | ||
(옵션) 장학금 및 재정지원 컨설팅 |
솔로몬에듀의 보다 구체적인 음악대학(원) 컨설팅 서비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음악교육을 담당했던 교사, 레슨선생님, 교수로부터 받아야 합니다.
2) “나”의 음악적 성향과 재능에 대해서 잘 아는 교사에게 받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1) 경력(연주회, 수상 이력 등)과 함께 지원 동기와 목적 등을 명확히 서술해야합니다.
2) 자신의 생각, 관심, 의견이 충분이 드러나야 합니다.
3) Supplement 에세이에서는 폭넓게 자신을 드러낼 것을 요구합니다.
지원자의 폭 넓고 전문적인 예술활동을 통해 학생의 재능과 가능성을 평가합니다.
학력, 연주경력, 마스터 클래스, 음악 캠프, 봉사 연주, 장학금과 콩쿨 수상경력 등을 각 분야별로 가장 최근의 것부터 쓰는 것이 좋습니다.
어떤 학교들은 에세이 외에 Scholarly writing sample을 요구하기도 합니다.
음악 연구분야에 관련된 글이 요구되는데, 샘플은 학창시절에 썼던 전공관련 에세이 또는 영어로 번역한 레포트 등이 모두 가능합니다.
Live Audition 전에 학생의 연주실력을 평가하여, 일부의 학생들에게만 Live Audition기회를 제공합니다.
입학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 부분이니 만큼 레퍼토리 선택도 중요합니다.
Live Audition은 음악대학(원) 합격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부분입니다.
Audition은 음악학과에 진학하고자 하는 학생의 연주 실력을 입학 전에 검증받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입학 후 학생이 가진 재능과 학교 안에서의 여러 활동 및 배움을 통해 얼마나 성장할 수 있는지를 미리 짐작하는 척도이기 때문에 오디션은 음악학과를 진학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는 필수불가결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입학지원 시 가장 많은 시간과 노력을 쏟아 부어야 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음악대학은 크게 클래식, 재즈, 작곡, 음악교육 등의 4가지 분야로 세분화 되는데 학교별로 음악치료나 음악비즈니스, 음악역사 등이 있는 곳도 있으니 자신이 가고자 하는 학교 안에서도 어떤 분야에 초점을 맞출지 고려해야 합니다. 지원 학교별로 오디션의 요구조건이 다 다르지만, 서로 겹치지 않는 스타일로 5곡 정도의 자유 레퍼토리를 설정하여 자신의 실력을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곡을 연주하는 것이 좋습니다.
클래식의 경우 보통 20~30분가량의 레퍼토리를 만들어야 하며, 학교에서 지정해 주는 시대, 작곡자, 형식 등에서 1곡의 자유곡을 선택하여 구성합니다. 피아노학과의 경우 콘체르토, 에튀드, 소나타, 푸가 등이 필수 형식이며, 경쟁률이 높은 학교들은 pre-screening(사전심사)를 거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Jazz study 같은 경우 15~20분 내외의 레퍼토리를 구성하여 연주해야 합니다. 보통 2-5-1 블루스, 업템포 스윙, 보사노바, 또는 스탠다드 곡 등에서 연주하기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오디션에서 학과 교수 또는 스태프와의 jam을 하는 학교들도 있기 때문에 즉흥연주에 대한 대비와 청음테스트를 위한 준비가 필요합니다. 몇몇 학교들의 경우 Jazz study라 하더라도 클래식 피아노 오디션을 통과해야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학교 홈페이지에서 확인해야 합니다.
3~4곡의 자작곡을 데드라인에 맞춰 먼저 메일로 제출해야 합니다. (출품한 작품은 반환되지 않으므로 원본을 제출하지 않아도 됩니다.) 악보와 함께 레코딩도 함께 보내는 것을 추천합니다. 작품을 미리 제출한 모든 학생들은 on-campus 인터뷰를 보아야 합니다. 오디션도 동일한 날 진행되며 자신의 주요 악기를 통한 오디션이 진행됩니다. 악기 연주자와 마찬가지로 레퍼토리를 구성하여 15~20분 이내의 연주를 하게 됩니다.
거의 대부분의 학교에서 사전심사(pre-screening)를 거쳐 선정된 학생들을 대상으로 라이브 오디션을 진행합니다. 10분 미만의 자유곡 2~3곡을 부르게 되며, 다른 학과들과 마찬가지로 시창과 청음도 함께 진행됩니다. 학생의 사정 상 on-campus 오디션에 참가하지 못할 경우 비디오 레코딩을 제출하고, 합격할 경우 live-chat으로 시창과 청음을 테스트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시창과 청음(리듬, 싱글 멜로디, 코드 패턴), 즉흥연주 또는 (노래의 경우) 키보드에 대한 화성을 구성하여 노래하게 됩니다.
오디션은 본인이 가지고 있는 재능과 강점 등을 부각시킬 수 있는 기회입니다. 따라서 여건이 된다면 on-campus 오디션을 추천합니다. 학교들마다 지도 교수들의 스타일이 다르기 때문에 오디션에서 지도 교수들과의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학교의 명성뿐만 아니라 본인의 성향을 고려한 입학결정을 하는 것이 졸업 후 커리어를 계속해 나갈 때에 도움이 됩니다.
미국 학위과정 유학을 고려할 때 처음에는 University 와 Conservatory 어디로 지원할 지를 고민합니다. University를 지원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피아노는 Piano Performance 와 Piano Pedagogy, Collaborative Piano 또는 Music Education, Music Therapy 복수 전공을 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악기를 전공하면서 Music Business /Management, Music Administration, Music Technology를 겸한 경우는 음악관련 회사나 방송국 등에 Job을 갖는 것도 가능합니다. 또는 학사는 Conservatory에서 석박사는 University에서 학위과정을 하기도 합니다.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는 Boston의 Berklee College of Music과 뉴욕의 The New School에서는 대중음악, 뮤직 프로덕션, Jazz, Pop 등 다양한 음악을 전공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미국 음악대학교에서도 클래식 음악과 실용음악, Jazz를 전공할 수 있고, Conservatory에서도 클래식과 Jazz를 전공할 수 있습니다. New York University에서는 클래식 음악, 음악교육, 실용음악, 뮤직 비즈니스, 행정 등 다양한 전공과 함께 NYU의 Tisch School of the Arts 에서는 Film Music과 Musical Theater를 공부할 수 있습니다.
찾아오시는길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상담 및 TEST예약 | SITEMAP
평일 : 9시 30분~ 6시 30분
토요일 : 예약제로 운영합니다.
대표 : 김민선 | 사업자등록번호 : 220-06-79291
솔로몬에듀는 unicef를 정기적으로 후원하고 있습니다.
서울시 서초구 사평대로 371 현철빌딩 5층
지하철 9호선 신논현역 1번출구 앞(강남 교보타워 맞은편)
Hyunchul Bldg. 5F, 371, Sapyeong-daero, Seocho-gu, Seoul, 06541, S.Korea
Tel: 02-567-3376 | Fax: 02-567-4496 | E-mail: solomon@solomonedu.com
Copyrightⓒ2020 SOLOMONEDU All rights reserved.